습관만들기 (재도전)
The Fuel Cell Route (Power-to-X) 본문
다음 논문을 참고했습니다.
https://doi.org/10.3390/en13030596
A Review of The Methanol Economy: The Fuel Cell Route
This review presents methanol as a potential renewable alternative to fossil fuels in th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It explores the renewable ways of obtaining methanol and its use in efficient energy systems for a net zero-emission carbon cycle, with
www.mdpi.com
https://doi.org/10.1016/j.rser.2013.08.032
Redirecting
linkinghub.elsevier.com
*Renewable electricity -> Water electrolysis -> H2 그린수소 생성 -> Methanol production plant -> Distribution (industrial application, residential application - CHP, refueling station - vehicle) or Reforming process (CH3OH -> H2)
*신재생 설비에서 생성된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성된 그린수소를 메탄올로 변환하여 저장함, 생성된 메탄올 같은 연료를 electrofuels 명칭하고 위 과정을 power-to-X (Renewable electrical energy -> chemical bonds of gaseous or liquid fuels) -> 메탄올을 이용하여 산업에 자주 사용되는 연료로 변환하거나 다시 수소로 변환하여 사용 가능
CH3OH→HCHO (formaldehyde), C2H4O2 (acetic acid), anhydride (무수물), CH3OCH3 (methyl ethers), CH3NH2 (methylamine), CH3Cl (methyl chloride), and methanol compounds with sulfur and silicon

기존 메탄올 합성 방식 (STM, Syngas to Methanol)



Syngas (synthesis gas로 CO, CO2 등 포함) → Composition adjustment → Makeup gas (MUG) 50~80bar → Catalyst: Cu/ZnO/Al2O3 (stability, activity, selectivity, durability) → Impurities and thermal effects → catalyst deactivation
Power-to-X
1. CO2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ies → CO2 공급
2. Renewable energy (electricity) → Water electrolysis (보통 PEMEC) → H2 공급
- Co-electrolysis using SOEC: 작동온도가 높아서 열역학적으로 선호되어 효율이 가장 좋다, 그러나 conventional SOEC electrode (Ni, Cu) 그리고 소량의 sulphur를 흡기가스로 추가함 → sulphur가 sintering activity of Ni 증가 → electrode degradation 가속화 → SOEC 수명 감소 (long-term stability, durability 낮음)
- AEC: 전해질 NaOH or KOH (20-40 wt%), 70-90℃, 3MP 이하 → higher energy consumption, lower efficiency, strongly corrosive, limited capacity at high pressure
- PEMEC: 가장 적절함 (higher hydrogen production rate, higher current density, higher gas purity, low gas permeability, wide dynamic operation range, compact design, rapid response) → corrosive acid environment (pH ~ 2), 높은 전류밀도에서 높은 전압 → 결국, 귀금속 Pt, Ir, Ru을 촉매로 사용 (가격이 너무 비쌈) → catalyst loading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
3. CO2, H2 → CTM → Methanol 합성 (그린 메탄올): contains more water and less byproducts
차기 메탄올 합성 방식 (CTM, CO2 to Methanol): 반응에서 발생한 열은 STM보다 적으므로 adiabatic converter의 작동 온도를 낮출 수 있음, isothermal converter를 위한 tube의 diameter를 키울 수 있음, tube-cooled reactor 또한 선택 사항이 됨 → 그러나, CTM은 CO2의 함량이 높으므로 물을 매우 많이 요구함 → 기존 구리 기반 촉매에 악영향 → RWGS (reverse water gas shift)으로 CO2를 CO로 변환하여 촉매의 악영향을 감소함 (KIST)
4. Methanol → Fuel cell (DMFC or HT-PEMFC)

Evaporator: Reformer의 Hot air & FC stack의 exhaust air와 coolant out → Fuel pump에서 온 Methanol-water 열전달 → Methanol-water vapor를 reformer로 전달 → Reformer (메탄올과 수증기가 만나서 높은 농도의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산하고 CO (<2.5%) 소량의 불순물 배출): 230-260℃ 온도에서 작동하며 흡열반응 → Catalytic burner로 reformer의 최적 온도까지 상승 → reformate gas 중 Fuel cell stack 내에서 반응하지 못한 excess reformate gas는 다시 reformer로 이동하여 에너지 소모량 최소화
Reformer, HT-PEMFC (electrode, electrolyte), Evaporator 가장 중요한 component
우리는 HT-PEMFC에 관심 → 상대적으로 고온 (160~200℃ 작동) → PA-PBI 전해질 막 사용으로 가습장치 불필요, cell flooding 및 drying 영향 미미, 고온에서 작동하여 연료의 불순물에 대한 성능저하 미미 → fuel flexibility 높음 (reformate gas, H2 & CO2 & CO 그대로 사용 가능)

Reforming: hydrocarbons → hydrogen-rich gas mixture (촉매반응), 특히 Methanol은 C원자가 1개라서 가장 낮은 reforming 온도 200-300℃를 갖음 (강한 C-C bond가 없음) + 상온에서 액상으로 BP가 65℃로 물과 잘 섞임
MSR, Methanol steam reforming (+49.7) = WGS, Water gas shifting (-41.2) + MD, methanol decomposition (+90.2)
촉매: Cu/ZnO/Al2O3를 사용하며 reforming activity 160℃에서 시작 (HT-PEMFC의 작동온도와 딱 맞음) → 그러나, 200℃에서 reformate gas 중 methanol slip 발생하여 성능과 수명에 악영향 → MSR > 230℃에서 구동 (≤2% CH3OH, ≤1% CO)하여 reformate gas를 최대한 정제함 → cleanup process 불필요 / MSR 작동 온도가 올라가면 CO2의 농도가 올라가면서 CO의 농도도 올라가나 높은 온도에서 구동되는 장점으로 올라간 CO의 농도가 corrosive 영향이 거의 없음
결국, MSR에 들어가는 촉매가 중요함 → well-dispersed and smaller crystallite size particles and higher specific area of copper → MSR 내 촉매 Cu/ZnO/Al2O3는 300℃ 이상에서 thermal sintering으로 촉매 deactiviation 발생함 (≤260℃ 권장) → 그럼에도 active phase sintering을 줄이고자 Cu와 selectivity가 유사하면서 thermal stability가 높은 8-10 주기 금속을 촉매로 선택함 → 추가로 steam을 충분하게 공급 (건조할 시 coke가 형성하여 촉매의 기공을 막아서 deactivation 가속화시킴)
MSR 내부는 uniform flow distribution (열전달의 최대, 압력강하 최소)
'전기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direct/Direct Ammonia Fuel Cell (0) | 2023.03.20 |
---|---|
In-situ formed Metal Pyrophosphates (MP2O7)/PA/PBI (0) | 2023.03.10 |
PEMFC and PEMEC 비교 (0) | 2023.03.06 |